시흥시가 도심 내 공업지역의 도시외곽 이전을 통한 쾌적한 도시환경 구축을 이유로 들며 조성한 시흥시매화산업단지가 외부 업체 유입 등 본래의 취지를 크게 벗어나고 있어 물의를 빚고 있다.
특히 관내 업체 이전을 위해 수의계약으로 공업지역 부지를 우선 분양계획을 했던 부지조성가가 김윤식 시흥시장이 주장했던 가격보다 턱없이 비싸게 제시되고 있어 사업주들의 반발이 거세다.
지난 11월 28일 시흥시 은행동 대야동, 신천동 등 각 공업지역에서 제조사업장을 운영하는 53명의사업주들로 구성된 매화산단비상대책위원회가 시흥시청에서 ‘기존공업지역으로 존치와 분양가 인하’를 주장하며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김윤식 시장이 지난 2008년 4월 29일 수도권정비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시흥매화일반산업단지를 조성하면서 공업지역 분양가를 평당 320만원선에 조정하도록 하겠다고 호도하면서 아무리 높은 가격일지라도 350만원을 넘지는 않을 것이라며 매화공단으로 이전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수의계약에 이은 실질 분양계약에서 제시된 평당 가격이 김윤식 시흥시장이 수차례에 걸쳐 제시해왔던 320만원 대비 많게는 92만4948원, 적게는 60만1996원의 괴리를 보여 사업주들로부터 “거짓말을 밥 먹듯 하는 시장”이라는 비난을 사고 있다.
김윤식 시장이 예상가 마지노선이라고 한 350만원 평당 가격에 대비해도 많게는 62만4948원 적게는 30만1996원의 격차를 보이고 있어 “김윤식 시장은 거짓말쟁이”라는 오명을 벗어나기 힘들게 됐다.
여기에다 관내에 산재한 공업지역의 직접화를 이유로 조성한 산업지역에 외부업체 유입을 유도하고 있어 조성 본래 취지를 벗어난 행정을 일삼고 있다는 제조업자들의 불만 섞인 비탄이이어지고 있다.
더욱이 시흥시가 매화산단을 조성하면서 기존의 공업지역을 수도권정비계획법 제7조에 따라 공장총량제를 준수하기 위해 주거지역으로 변동하는 시흥도시관리계획(용도지역변경 등)을 결정·고시해 개발행위 제한지역으로 고시해, 제조업자들이 시흥시가 뿌리산업 종사자들을 고사시키려 한다고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사업주들은 2006년 도시재정비촉진예정지구 지정(토지거래허가구역)에 이어 2010년 재정비촉진계획 결정공고(뉴타운 대상지), 2013년 시흥도시관리계획 결정(개발행위제한 지역) 등 재산권행사를 하지 못하도록 하는 행정을 계속 집행해 사업자들이 피해를 고스란히 떠안고 있다며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이들은 기존공업지역에 대한 대책수립과 분양가 대폭하락, 기존공업지역 존치를 주장하고 있다.
반면 시는 “옮길 수 있는 사업자는 옮기고 그 지역에서 계속사업을 할 사업자는 알아서 하라”는 무책임으로 일관하고 있다.
당초 일반산업지역 조성 배경과 완전 배치되는 대목이라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