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곧동 R&D부지에 드론 복합교육훈련센터가 들어설 전망이다. 시흥시는 연간 최소 5천800여 명의 드론교관 양성교육과 드론자력 보수교육 등을 위해 배곧 드론 복합교육훈련센터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고 2일 시의회 의원간담회자리에서 밝혔다.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의 드론 복합교육훈련센터 구축업무 위탁에 따르면 드론 운용 증가에 따라 안전관리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인적 요인에 따른 사고예방을 위한 교육 인프라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지난 2017년 기준 방제용 드론 추락사고가 227건이 발생했으며 이 가운데 88.4%는 조종자의 조작실수 등 인적 요인인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드론 조종교관의 법정교육과 특별안전교육 등 안전수준을 확보한 전문인력 양성의 전담시설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돼왔다. 배곧동 R&D 3부지 2만8천㎡에 실기 교육장과 교육동, 부대시설 등 드론 복합교육훈련센터 구축을 구상하고 나섰다.시흥시는 4차 산업혁명 선도 지원도시로 성장하기 위한 드론 복합교육훈련센터 유치 계획을 수립하고 1단계로 2만8천㎡ 등 3단계까지 모두 7만8천㎡의 부지가 필요할 것으로 보고 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정량적 분석결과 1단계 건립시 생산 유발효과 93억 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31억 원 그리고 3단계까지 시행할 경우 생산 유발효과 413억 원, 고용 302명, 시·도세 9억 원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시설 운영시에서는 이 보다 더 높게 나왔다. 1단계 생산효과 169억 원, 고용 260명 그리고 3단계까지 시행할 경우 각각 762억 원과 1천172명의 고용 유발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시설의 설립과 운영을 동시에 할 경우 유입기업 경제활동에 따른 부가가치는 9천579억 원, 재산세와 지방소득세는 87억 원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흥시는 센터 구축에 필요한 부지 제공과 인프라 조성 지원, 인허가 등 행정 지원을 제공하고 센터 공단은 센터 구축·운영 및 건물 소유권 시흥시에 이전 그리고 운영권은 국토교통부가 20년 동안 무상사용한다.
김창수 도시환경위원장은 "센터 건립 1단계 계획부터 주민들을 위한 가상현실 체험실과 어린이 드론 체험실 등 드론교육 체험교실 운영을 담은 조건으로 계약이 체결돼야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주민들에게 실질적 혜택이 부여되는 조건을 담아 협약이 체결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